동축사

Korea Tourist Attractions(Korean)

동축사

stocking 0 72 0 0
ULSAN WEATHER
마골산 동축사(麻骨山 東竺寺)는 울산광역시 동구 동부동 607변지에 소재한 사찰로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동축사는 울산지역의 고찰로서 신라의 불국토사상이 반영된 성지이다. 신라 진흥왕과 인도(西竺) 아육왕의 정신적 만남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곳으로, 아육왕이 배에 실어 보낸 석가삼존불의 모형을 봉안하기 위해 세운 사찰이라는 연기설화를 간직하고 있다. ‘동축’이라는 이름에서도 이곳이 범상치 않은 불국토임을 짐작할 수 있다. 즉 불국토의 고향인 인도가 서쪽의 나라이기에 서축(西竺)이라 하였듯이 이와 대비되는 이름으로써 동축(東竺)이라 칭하였던 당시 신라 불국토사상의 일면을 살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신라에 석가모니 과거불 시절부터 7처(處)의 절터가 존재하고 있었다는 불연국토라는 사상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인도 아육왕을 이상으로 삼아 그의 족적을 쫒으려는 진흥왕시대 신라 불교문화의 부흥과도 연결된다. 이 곳 동축사에 올라 섬암 주변의 해묵은 송뢰를 들으면, 멀리 불국토의 이상을 구도하던 진흥왕과 아육왕의 만남이 느껴진다.

또한 해안지역의 지리적인 위치와 마골산(麻骨山)이라는 산이름은 관음이 사는 백화산이 연상되듯, 동축사는 관음 기도도량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도심에서 벗어나 심신의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유서 깊은 곳으로, 이곳에 올라 해뜨는 동해를 바라보면 아름다운 경관을 맛 볼 수 있다. 일찍이 동축사가 자리한 이곳은 울산 동면8경 중 축암효종(竺岩曉鐘)ㆍ섬암상풍(蟾岩霜楓)이라 하여 시인묵객의 발길이 잦았던 곳이다. 특히 동축사 정상의 관일대(觀日臺)는 섬암이라 하여 동축사의 종소리와 함께 해뜨는 동해바다를 조망할 수 곳으로 유명하다. 관일대에는 남목을 다스렸던 감목관 원유영(元有永)이 새긴 ‘부상효채(扶桑曉彩)’라는 글이 있는데, 이는 ‘해뜨는 동쪽바다에 있다는 아름다운 빛을 내는 신성한 나무’라는 의미이다. 진흥왕시대 동축사에서 발한 빛이, 서축에서 오는 아육왕의 불상을 인도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듯 여겨지기도 한다.
쉬는날 연중무휴 개장일 -
체험안내 체험가능연령 -
이용시간 문의및안내 052-251-0410
유산구분 수용인원 -
주차시설 이용시기 -
유모차대여 불가 애완동물동반 불가
신용카드 없음 출처 한국관광공사
주소 울산광역시 동구 옥류로 93(동부동)   Google map

스탁제로는 내현재위치에 관한 어떤 데이터도 저장하지 않고 단지 오픈스트리트의 소스를 이용해서 보여주기만 합니다.
내현재위치를 사용하시는 분은 본 내용에 대해서 충분히 숙지하고 동의함으로 간주합니다.
PC에서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파란색 선을 따라서 클릭하시면 보시고 싶은 로드뷰를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변검색

  • 식당
  • 숙박
  • 약국
  • 주유소
  • 카페
  • 편의점

화장실:있음 외국어 안내서비스:불가
  포인트로 광고

  실시간 교통정보

  정보여행의 최강자 키워드 검색

0 Comments
Photo Subject

New Post


New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