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운조루 고택

Korea Tourist Attractions(Korean)

구례 운조루 고택

stocking 0 13 0 0
JEOLLANAM-DO WEATHER
류이주는 그가 처음 이사와 살았던 구만들(九萬坪)의 지명을 따 호를 귀만(歸晩)이라 했으며 이 집을 귀만와 (歸晩窩)라고도 불렀다. 운조루라는 택호는 구름속의 새처럼 숨어사는 집이란 뜻과 함께 구름위를 나르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이란 뜻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본디 이집의 이름은 중국의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귀거래혜사(歸去來兮辭)에서 따온 글이다. 구름은 무심히 산골짜기에 피어 오르고, 새들은 날기에 지쳐 둥우리로 돌아 오네의 문구에서 첫머리 두 글자를 취해 이름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구례 운조루 고택은 좌청룡 우백호의 산세와 함께 내수구(앞 도랑)와 외수구(섬진강)가 제대로 되어 있는 명당터에 자리잡고 있다. 집 앞의 오봉산은 신하들이 엎드려 절하는 형국이라고하며, 연당은 남쪽의 산세가 불의 형세를 하고 있어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조성한 것이라고 한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이 일대는 금귀몰니(金龜沒泥), 금환락지(金環落地), 오보교취(五寶交聚), 혹은 오봉귀소(五鳳歸巢)의 명당이 있는 곳이라고 하며, 이 집터에서 거북이의 형상을한 돌이 출토되었기에 금귀몰니의 명당으로서 남한의 3대 길지로 알려져 있다.

구례 운조루 고택에는 바깥사랑채, 안사랑채, 아랫사랑채 등으로 각각 누마루가 있었으나 지금은 아쉽게도 안사랑채와 아랫사랑채의 누마루는 남아 있지 아니하다. 현재 이 집은 건평 426.45m²(129평)으로 一 자형 행랑채와 북동쪽의 사당채를 제외하고 T자형의 사랑채와 ㄷ자형의 안채, 안마당의 곡간채가 팔작지붕, 박공지붕, 모임지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 집에 있는 목독(나무로된 쌀독의 마개에 <他人能解>라는 글귀를 써두었음)은 가난한 이웃 사람이 쌀을 꺼내 끼니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음덕을 베풀고 적선을 하는 것이 돈을 가진 자의 도리임을 보여 주었던 류씨 문중의 상징물이다.

200년이 지나도록 망하지 아니하고 오늘날까지 가문이 번창한 것은 오로지 분수를 지키며 생활하고, 이웃을 돌보았던 마음이 전승되어 내려왔기 때문이라고 본다. 류이주의 5세손인 류제양(柳濟陽)은 일만여편의 시(詩)를 쓰고 손자 류형업(柳瀅業)에 이르기까지 80년간 하루도 빠지지않고 생활일기와 농가일기를 썼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록문화는 우리가 본받아야 할 위대한 선조들의 유업이라 아니할 수 없다. 구례에서 연고사, 쌍계사, 하동 방면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토지면 소재지에 내리면 이 일대가 금환락지의 들판이다. 구례 운조루 고택은 이곳 여러 마을 중 오미동에 있다. 창건주 유이주 무덤은 운조루 뒤편 베틀봉이라는 산등성이에 있고 시목나루는 구만리 들판과 섬진강 건너 문척면 회정리를 오고 가던 나루터다. 지금은 나루터의 흔적이 보이지 않고 강변에는 봉소대(鳳巢臺)라는 정자가 있다. 구례 운조루 고택과 함께 답사할 곳은 화엄사와 천은사, 장수마을 사도리, 매천사당 등이 있다.
쉬는날 연중무휴 개장일 -
체험안내 체험가능연령 -
이용시간 08:00~17:00 문의및안내 구례군 문화관광과 061-780-2431
유산구분 수용인원 -
주차시설 이용시기 -
유모차대여 없음 애완동물동반 불가
신용카드 없음 출처 한국관광공사
주소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운조루길 59   Google map

스탁제로는 내현재위치에 관한 어떤 데이터도 저장하지 않고 단지 오픈스트리트의 소스를 이용해서 보여주기만 합니다.
내현재위치를 사용하시는 분은 본 내용에 대해서 충분히 숙지하고 동의함으로 간주합니다.
PC에서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파란색 선을 따라서 클릭하시면 보시고 싶은 로드뷰를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변검색

  • 식당
  • 숙박
  • 약국
  • 주유소
  • 카페
  • 편의점

입 장 료:- 어른(19세 이상) 1,000원
- 학생(10세~18세)/군경 700원
- 어린이(10세 미만) 무료 화장실:있음
  포인트로 광고

  실시간 교통정보

  정보여행의 최강자 키워드 검색

0 Comments
Photo Subject

New Post


New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